엔터경제 연예 스포츠 라이프& 피플 포토·영상 스페셜&기획 최신


엔터경제 연예 스포츠
라이프& 피플 포토·영상
스페셜&기획 조이뉴스TV

록 음악이 외면 당하는 까닭은?

본문 글자 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공연문화부재', '로커들의질적 저하' 등에 기인

국내 록 밴드 음악이 그 어느 때보다 침체 일로를 걷고 있다.

80년대는 록의 전성기였다. 당시는 들국화, 송골매, 시나위가 있었다. 90년대에는 넥스트가 블랙홀과 함께 인기 록 밴드의 불씨를 살려 나갔다.

이후 크라잉넛, 체리필터, 노브레인 등의 록 밴드들이 탄생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지만, 이들 중 어느 하나 지난 시절 선배들의 영광을 재현하는 그룹은 없어 보인다.

그나마 대중적이라 할 수 있는 밴드들마저도 예전만큼 대중으로부터 큰 인기를 얻지 못 하고 있다는 평가다.

국내 가요계에서 록 밴드의 인기가 침체하고 있는 까닭은 무엇 때문일까?

로커 김경호는 록 밴드이 외면 당하는 몇 가지 이유를 설명한다.

첫 번째는 '공연문화의 부제'. TV가요 프로그램이 이미 10대 위주의 가벼운 음악들로 가득 채워진 상황에서 오로지 공연을 통해서만 대중과 만날 수 있는 록 밴드들에게 공연조차 쉽지 않다는 것이다.

김경호는 "공연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공연장 대관료 등의 공연 인프라에 대한 비용이 줄어들어야 공연티켓 가격도 내려갈 수 있는데 현재의 상황은 그렇지 못 하다"고 말한다.

두 번째는 '로커들의 질적 저하'다. 김경호는 "언더와 오버(비주류와 주류)를 통틀어 현재 활동하고 있는 록 밴드들 중 80년대의 메탈스타일을 연주할 수 있는 밴드는 눈 씻고 찾아봐도 없다"고 말한다.

록 밴드들의 전반적인 실력 저하를 꼬집는 부분이다.

이어 김경호는 "록음악을 이끈다며 홍대 클럽가에서 록음악하는 밴드들은 실력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이 스스로 만족하고 매너리즘에 빠지며 엉터리 록음악들이 연주되고 있다. 록음악이 대중음악을 이끄는 주류 무대로 나가기 위해서는 음반 기획사가 됐든, 매체가 됐든 '검증'이 필요하다"며 "검증을 거치지 못해 결과적으로 대중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음악은 죽은 음악"이라고 강조했다.

세 번째는 '음원 유통 시스템'. 김경호는 현재의 음원유통시스템 역시 록 음악에는 악재로 작용한다고 지적한다.

김경호는 "현재 여러 음악 싸이트에서 음악의 앞부분(1분내지 1분 30초) 듣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는 기승전결이 확실하게 있어야 하는 록 음악에는 매우 부정적인 부분"이라 말한다. 이어 그는 "그러한 앞부분 듣기 시스템 탓에 작곡자들은 노래 앞부분에 모든 것을 다 보여줘야 한다는 부담을 갖게 됐다"며 "요즘 많은 음악들의 기승전결 구조가 무너진 것은 바로 앞부분 듣기 시스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문제 외에도 음반 제작자들의 록 음반 제작 자체에 대한 부담 또한 록 밴드 음악이 침체된 원인 가운데 하나라는 지적이 높다.

모 음반 제작자는 '록 음악에 대한 음반 제작자들의 외면'을 록 밴드 인기 침체의 원인으로 들기도 한다.

이 관계자는 "현재 가요계가 전체적으로 불황을 겪는 상황에서 큰 인기를 모으지 못 하는 록 밴드의 음반제작에 제작자들이 쉽게 나서지 못 한다"며 "제작자들은 실패에 대한 리스크를 감내하면서까지 록 음반을 내는 대신 방송활동도 많이 하고 행사도 많이 나갈 수 있는 댄스 가수나 발라드 가수의 음반 제작 쪽으로 등을 돌렸다"고 현재 음반시장의 분위기를 설명했다.

한편 23일 오후 벅스뮤직, 소리바다, 멜론 등 국내 온라인 음악사이트의 인기 차트에는 빅뱅, SG워너비, 원더걸스 등이 높은 순위에 링크돼 있는 가운데 정통 록 밴드는 단 한 팀도 20위권 안에 이름을 올리지 못 했다.

조이뉴스24 /추장훈기자 sense@joynews24.com



주요뉴스


공유하기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alert

댓글 쓰기 제목 록 음악이 외면 당하는 까닭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댓글 바로가기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