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뉴스24 박진영 기자] 배우 이정재가 '오징어 게임' 시즌3로 돌아왔다. 전 세계에서 신드롬을 일으킨 레전드 시리즈 '오징어 게임'의 대장정을 드디어 마친 것. 긴 시간 동안 성기훈으로 살아야 했던 이정재는 이제는 조금 편안한 마음이라며 크게 웃었다. 하지만 아쉬움도 남는다고. 특히 자신의 연기에 대한 호불호엔 "제 연기에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는 없지만 최선을 다했고, 모두의 고민 끝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27일 전 세계에 공개된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 시즌3(감독 황동혁)는 자신만의 목적을 품고 다시 참가한 게임에서 가장 친한 친구를 잃고 만 기훈(이정재 분)과 정체를 숨긴 채 게임에 숨어들었던 프론트맨(이병헌 분), 그리고 그 잔인한 게임 속에서 살아남은 참가자들의 마지막 운명을 그린 넷플릭스 시리즈다.
![배우 이정재가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 시즌3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넷플릭스]](https://image.inews24.com/v1/5e789f6d2d6fe9.jpg)
이정재, 이병헌, 임시완, 강하늘, 위하준, 박규영, 이진욱, 박성훈, 양동근, 강애심, 조유리, 채국희, 이다윗, 노재원, 전석호, 박희순 등이 열연했으며, 짧은 분량이지만 정호연, 최승현(탑), 원지안 등도 볼 수 있다. 엔딩에서는 케이트 블란쳇이 딱지녀로 등장해 놀라움을 안겼다.
공개 첫 주, 단 3일 만에 60,100,000 시청 수(시청 시간을 작품의 총 러닝타임으로 나눈 값)를 기록하며 글로벌 TOP 10 1위에 올랐으며,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프랑스, 브라질 등 넷플릭스 TOP 10을 집계하는 93개 모든 국가에서 1위를 수성했다. 이는 공개 첫 주, 모든 국가에서 1위를 기록한 넷플릭스의 첫 작품으로 역대급 흥행을 증명했다.
이에 더해 공개 첫 주에 넷플릭스 역대 시리즈(비영어) 9위에 진입하며 시즌1, 2, 3가 모두 넷플릭스 역대 최고 인기 시리즈(비영어) 부문 10위권 내 이름을 올렸다. 그뿐만 아니라, 지난 한 주간의 시청 수를 집계한 글로벌 TOP 10에 시즌2도 시리즈(비영어) 3위, 시즌1은 6위로 역주행했다. 시즌1부터 시즌3까지, 긴 시간 '오징어 게임'과 함께 했던 이정재는 "아쉽기도 하다"라고 작품을 떠나보내는 소회를 전했다. 다음은 이정재와 나눈 일문일답이다.
![배우 이정재가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 시즌3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넷플릭스]](https://image.inews24.com/v1/8ccf631dbbb895.jpg)
- 이제 '오징어 게임' 시리즈를 떠나보내게 됐는데 소감은 어떤가?
"오랫동안 준비했던 작품이라 아쉽기도 하다. 스태프, 배우들과 함께했던 추억들이 끝나는 것이 가장 아쉽다. 현장에서 길게 촬영해도 6개월 정도인데, 몇 년을 함께 했다. 이제 눈빛만 봐도 손발이 척척 맞는다. 그 정도로 호흡이 잘 맞았던 스태프, 넷플릭스 홍보팀과 세계 각지를 다니며 일을 했는데 그런 거 생각하면 많이 아쉽다."
- 이번에 또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부담이 컸을 것 같은데 어떤가?
"많이 봐주셔서 감사하다. 부담감은 시즌2 촬영 준비할 때 엄청 심했다. '이거 어떻게 해야 하지? 어떻게 더 잘 해내야 하지?'라는 고민과 부담감이 컸는데 막상 촬영장 들어가니 부담감이 다행스럽게도 없어지더라. 그날그날 찍어야 하는 분량에 집중하니까 부담감이 싹 없어졌다. 그렇게 1년 재미있게 촬영했는데, 역시 홍보할 때가 되니 부담감이 스멀스멀 올라온다. 그래도 시즌3 홍보 때는 마지막이라 그런지 시즌2 때 보다 긴장이 되지 않는 것 같다. 시즌2 때는 말하지 말아야 하는 것도 많고, 말실수 할까봐 머리가 복잡했는데 지금은 모두 공개가 되어 편안함이 있다."
- 긴 시간 함께한 기훈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나?
"잘했다고 칭찬할 수는 없지만 수고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제가 할 수 있는 건 다했다고 생각한다. 물론 지금보다 시간이 지나 다시 '오징어 게임'을 보고 제가 성장한다면 '내가 왜 저걸 몰랐을까?' 하는 아쉬움이 보일 텐데 지금 당장은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한 것 같다."
![배우 이정재가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 시즌3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넷플릭스]](https://image.inews24.com/v1/300b53552e14f9.jpg)
- 이번 시즌3도 호불호가 갈리고 있는데,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궁금하다.
"호불호는 작품마다 있었다. '오징어 게임'도 호불호가 있는데, 일반적인 재미만 쫓는 프로젝트가 아니었다. 전체에서, 또 각각이 에피소드마다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있다. 이런 메시지에 대한 갑론을박이 나오는 건 오히려 좋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메시지가 강하거나 여러 메시지가 담긴 작품은 호불호가 나뉘고 그에 따른 이야기가 많아진다는 것을 느끼게 됐다."
- 호불호 중에서는 연기력에 대한 지적도 있다. 기훈이 마지막 선택을 하기까지, 그 과정을 설득시켜야 하는데 조금 부족했다는 평가도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나?
"그렇게 느끼신다면 제가 잘못한 거다. 하지만 저는 최선을 다했다. 여러 버전으로 촬영했던 장면이고 편집 과정에서 감독님이 당연히 적절한 것을 선택하셨을 거다. 정말 중요한 장면이다. 굉장히 신경을 많이 썼던 장면이라 모두가 만족스럽지 않으면 촬영을 그만둘 수 없다. 저희 나름대로는 저를 포함한 많은 분의 의견까지 수렴해서 시도를 여러 차례 많이 했다. "사람은…."이라고 공간을 둔 것도 시청자들이 빈 부분을 각자의 감정으로 채우길 바라는 감독님의 의도였다. 그 방법이 최선이지 않았나 싶다."
- 기훈의 여러 행동, 선택에 대해서 의구심이 드는 부분은 없었나?
"창작자가 시청자들과 소통하고 싶어 하는 주제와 메시지가 있기 때문에 저는 기훈에게서 한 번도 의구심이 생기지 않았다. '왜 이렇게 되지? 나는 불편한데‘라는 생각이 전혀 없었다. 무엇보다 시즌1이 워낙 성공했고, '오징어 게임'을 사랑해준 팬분들에 대해 보답을 하겠다는 생각으로 계획되지 않은 후속편을 만들게 된 거다. 그러므로 창작자가 시청자와 이야기하고 싶은 의도를 최대한 따라가고 싶었다. 그래서 이해가 안 되거나, '나는 이런 아이디어가 있는데 이게 좋지 않나?'라는 얘기를 거의 안 했다. 최대한 맞춰드리고, 따라가고 싶었다."
![배우 이정재가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 시즌3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넷플릭스]](https://image.inews24.com/v1/e39d6a794a4a08.jpg)
- 엔딩에 관한 생각은 어떤가? 그리고 이를 표현하기 위한 배우로서의 고민도 컸을 것 같은데 어떤가?
"'시청자들은 어떤 반응일까, 이 엔딩을 좋아할까'란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황동혁 감독이 정말 작가구나. 작품을 사랑하는구나. 의미 있는 엔딩을 찾으려고 노력했고 이렇게 성공한 시리즈의 끝을 내려버리겠다는 용기가 멋지다'라는 생각을 가졌다. 그리고 시청자들이 잘 받아들이시게끔 연기를 해야 한다. 그 부분이 가장 어려웠고 고민이 됐던 지점이다. 클라이맥스고 엔딩이라 세세한 부분까지 집중해서 볼 거로 생각했다. 미세한 부분까지 감정을 표현해야 해서 굉장히 신경이 많이 쓰이고 어려웠다. 그 장면을 위해 하루를 다 뺐다. 정말 많은 시도를 했다. 많은 분이 '저 선택이 최선이었어'라고 할 장면을 보여드려야 했다. 기훈의 선택이 어렵기 때문에 뭘 어떻게 해도 부족한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연기하는 사람으로서는 더 잘하고 싶은 욕심과 욕구가 있는 거라, 객관적으로 제 연기를 평가할 수는 없다. 당연히 현장에서 오케이를 하시는 건 연출자고, 그의 의도가 만족이 되어야 그 장면을 마무리하는 거니까 감독님과 정말 많은 이야기를 했다. 또다시 시도하고 계속 찍기를 원하셨다. 이렇게 하다 보면 생각지 못했던 좋은 것이 나올 수 있나, 더 맞는 것이 나올까 하는 생각으로 계속 찍었던 것 같다."
- 기훈이 가진 감정의 코어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시즌3까지 촬영하면서 왜 이런 행동을 하고 결정을 하는지 고민을 할 수밖에 없다. 그때 양심이라는 단어가 생각나더라. 남들은 나의 행동을 봐야 이런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되는데, 기훈 입장에선 옳은 행동이든 옳지 않은 행동이든 크게 움직였던 것 같다. 남이 어떻게 생각하든 자기 자신을 바라볼 때 떳떳해야 한다는 생각이 컸을 거라 그것을 중심으로 생각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